부르고뉴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르고뉴 공작은 부르고뉴 지역을 통치했던 지배자들로, 보소니 가문, 로베르 가문, 카페 왕가, 발루아-부르고뉴 가문, 부르봉 왕가, 합스부르크 왕가 등이 존재했다. 1477년 이후에는 프랑스 왕가와 합스부르크 왕가가 부르고뉴 공작위를 사용했으며, 17세기 이후에는 프랑스 왕족이 부르고뉴 공작위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고뉴 - 부르고뉴 전쟁
부르고뉴 전쟁은 1474년부터 1477년까지 용담공 샤를의 부르고뉴 공국과 스위스 연방을 비롯한 여러 세력 간의 분쟁으로, 샤를의 패배와 전사, 부르고뉴 공국의 분할, 스위스 용병의 명성, 보병 중심 전술의 부각을 가져왔다. - 부르고뉴 - 그랑송 전투
그랑송 전투는 1476년 3월 2일 스위스 연방군이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샤를의 군대를 숲을 이용한 기습으로 격파한 전투이다. - 부르고뉴 공작 - 부르고뉴 공국
부르고뉴 공국은 14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재했던 서유럽의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이 통치하며 플랑드르와 네덜란드 등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으나 부르고뉴 전쟁 패배로 멸망하고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에 분할되었다. - 부르고뉴 공작 - 프란츠 2세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의 첫 번째 황제(프란츠 1세)로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을 겪으며 신성 로마 제국 해체 후 오스트리아 제국을 건설하고 빈 체제 수립에 기여했으나, 자유주의 억압 정책을 시행했다. - 유럽의 역사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유럽의 역사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부르고뉴 공작 | |
---|---|
부르고뉴 공작 | |
![]() | |
관할 | 부르고뉴 공국 |
문장 | 용담공 샤를의 문장 |
생성일 | 880년 |
군주 | 부르고뉴 가문의 통치자 카페 왕가의 왕족 합스부르크 가의 왕족 |
귀족 | 프랑스의 공작위 |
초대 공작 | 부르고뉴의 리샤르 2세 |
마지막 공작 | 용담공 샤를 (세습 영지) 루이 드 프랑스 (명목상 작위) |
폐지일 | 1477년 1월 5일 (세습 영지) 1761년 3월 22일 (명목상 작위) |
가문의 자리 | 샤토 드 제르몰르 오텔 드 부르고뉴 팔레 데 뒥 드 부르고뉴 |
부속 작위 |
2. 역대 부르고뉴 공작 목록
보소니 가문은 초기 부르고뉴 공국의 후작(이후 대공) 지위를 차지했으며, 여러 지방 왕국과의 복잡한 혼인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했다. 로베르 가문은 보소니 가문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 공작위를 계승했다. 주요 인물로는 위그 르 그랑의 아들 오통, 오통 공작의 형제 외드 앙리, 외드앙리 공작의 수양아들 오통 기욤 등이 있다. 1004년 부르고뉴는 카페 왕가에 의해 프랑스에 합병되었으나, 오토 2세 빌리암은 부르고뉴 자유국의 통치자로 남았고 그의 후손들은 이브레아 가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카페 왕가의 방계인 부르고뉴 가문은 프랑스 왕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인 로베르 1세를 시조로 한다. 로베르 1세의 후손들은 포르투갈 왕국을 건국한다.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은 카페-부르고뉴 가문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를 통치한 가문이다.
가문 | 이름 | 제위 기간 | 비고 |
---|---|---|---|
보소니 가문 | 정의공 리샤르 | 880년–921년 | 부르고뉴 공국의 첫 후작(이후 대공) |
보소니 가문 | 루돌프 | 921년–923년 | 프랑스 왕 |
보소니 가문 | 검은 위그 | 923년–952년 | |
보소니 가문 | 질베르 | 952년–956년 | |
로베르 가문 | 오통 | 956년–965년 | 위그 르 그랑의 아들 |
로베르 가문 | 외드 앙리 | 965년–1002년 | 앙리 1세 르 그랑, 오통 공작의 형제 |
로베르 가문 | 오통 기욤 | 1002년–1004년 | 외드앙리 공작의 수양아들 |
카페 왕조 | 로베르 2세 | 1004년 - 1016년 |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 |
카페 왕조 | 앙리 1세 | 1016년 – 1031년 | 부르고뉴 공자 앙리의 장남, 로베르 1세의 손자. |
부르고뉴 가문 | 로베르 1세 | 1032년 – 1076년 |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1세 | 1076년 – 1079년 | 부르고뉴 공자 앙리의 장남, 로베르 1세의 손자. |
부르고뉴 가문 | 붉은 머리 외드 1세 | 1079년 – 1103년 | 위그 1세의 동생 |
부르고뉴 가문 | 평온공 위그 2세 | 1103년 – 1143년 | 외드 1세의 아들 |
부르고뉴 가문 | 외드 2세 | 1143년 – 1162년 | 위그 2세의 장남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3세 | 1162년 – 1192년 | 외드 2세의 장남 |
부르고뉴 가문 | 외드 3세 | 1192년 – 1218년 | 위그 3세의 장남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4세 | 1218년 7월 6일 | 외드 3세의 장남 |
부르고뉴 가문 | 로베르 2세 | 1271년 10월 27일 | 위그 4세의 장남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5세 | 1306년 3월 21일 | 로베르 2세의 장남. |
부르고뉴 가문 | 외드 4세 | 1315년 5월 9일 | 로베르 2세의 동생 |
부르고뉴 가문 | 루브르의 필리프 1세 | 1350년 4월 3일 | 부르고뉴 공자 필리프의 장남, 외드 4세의 손자 |
초상 | 이름 | 탄생 - 사망 | 제위 기간 | 비고 | 문장 |
---|---|---|---|---|---|
![]() | 선량왕 장 1세 (Jean Ier le Bon) | 1319년 4월 16일 - 1364년 4월 8일 | 1361년 12월 28일 - 1363년 9월 6일 | 프랑스의 장 2세. 친족인 필리프 1세로부터 부르고뉴의 통치권을 상속하였다. | |
![]() | 호담공 필리프 2세 (Philippe II le Hardi) | 1342년 1월 15일 - 1404년 4월 27일 | 1363년 9월 6일 - 1404년 4월 27일 | 선량왕 장 1세의 막내 아들 | |
![]() | 용맹공 장 (Jean sans Peur) | 1371년 5월 28일 - 1419년 9월 10일 | 1404년 4월 27일 - 1419년 9월 10일 | 호담공 필리프의 장남 | |
![]() | 선량공 필리프 3세 (Philippe III le Bon) | 1396년 7월 31일 - 1467년 6월 15일 | 1419년 9월 10일 - 1467년 6월 15일 | 용맹공 장의 장남 | |
![]() | 용담공 샤를 1세 (Charles Ier le Téméraire) | 1433년 11월 21일 - 1477년 1월 5일 | 1467년 6월 15일 - 1477년 1월 5일 | 선량공 필리프의 장남 | -- |
![]() | 부귀공 마리 | 1457년 2월 13일 - 1482년 3월 27일 | 1477년 1월 5일 - 1482년 3월 27일 | 용담공 샤를의 외동딸 | -- |
2. 1. 보소니 가문
보소니 가문은 초기 부르고뉴 공국의 후작(이후 대공) 지위를 차지했으며, 여러 지방 왕국과의 복잡한 혼인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 가문의 리처드는 형 보소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 대공이 되었으며, 그의 자손들은 프랑스 왕가와 대대로 혈연 관계를 맺으며 프랑스 왕가의 봉신으로서 자리 잡았다.보소니 가문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정의공 리샤르
- 루돌프
- 검은 위그
- 질베르
2. 1. 1. 주요 인물
- 정의공 리샤르 (Richard the Justiciar, 880–921): 부르고뉴 공국의 첫 후작(이후 대공)이다. 아덴가 출신으로, 그의 형 보소는 지방 왕국의 군주였다. 리샤르는 복잡한 혼인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해 온 형의 뒤를 이었으며, 지방 왕국들과의 혈연을 통해 대공이 되었다. 그의 자손들은 프랑스 왕가와 여러 대에 걸쳐 혈연 관계를 맺었고, 프랑스 왕가의 봉신으로서 자리잡았다.
- 루돌프 (Rudolph, 921–923): 프랑스 왕
- 검은 위그 (Hugh the Black, 923–952)
- 질베르 (Gilbert, 952–956)
2. 2. 로베르 가문
로베르 가문은 보소니 가문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 공작위를 계승했다. 주요 인물로는 위그 르 그랑의 아들 오통, 오통 공작의 형제 외드 앙리, 외드앙리 공작의 수양아들 오통 기욤 등이 있다.2. 2. 1. 주요 인물
- '''오통''' (956년–965년): 위그 르 그랑의 아들이다. 질베르 드 샬롱의 상속녀인 샬롱의 리에제아르드와 결혼했다.
- '''외드 앙리''' (965년–1002년): 앙리 1세 르 그랑으로도 불린다. 오통 공작의 형제이다. 부르고뉴 소속 백작들에 의해 부르고뉴 공작으로 선출되었다.
- '''오통 기욤''' (1002년–1004년): 외드앙리 공작의 수양아들이다. 부르고뉴 궁정백이었다.
2. 3. 카페 왕가
1004년 부르고뉴는 카페 왕가에 의해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오토 2세 빌리암은 부르고뉴 자유국의 통치자로 남았으나, 그의 후손들은 이브레아 가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 3. 1. 1대 부르고뉴 가문
카페 왕가의 방계인 부르고뉴 가문은 프랑스 왕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인 로베르 1세를 시조로 한다. 로베르 1세의 후손들은 포르투갈 왕국을 건국한다.이름 | 제위 기간 | 가문 | 비고 |
---|---|---|---|
로베르 2세 | 1004년 - 1016년 | 카페 왕조 |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 |
앙리 1세 | 1016년 – 1031년 | 카페 왕조 | 부르고뉴 공자 앙리의 장남, 로베르 1세의 손자. |
로베르 1세 | 1032 – 1076 | 부르고뉴 가문 |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 |
위그 1세 | 1076 – 1079 | 부르고뉴 가문 | 부르고뉴 공자 앙리의 장남, 로베르 1세의 손자. 그의 동생은 외드 1세. |
붉은 머리 외드 1세 | 1079 – 1103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1세의 동생 |
평온공 위그 2세 | 1103 – 1143 | 부르고뉴 가문 | 외드 1세의 아들 |
외드 2세 | 1143 – 1162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2세의 장남 |
위그 3세 | 1162 – 1192 | 부르고뉴 가문 | 외드 2세의 장남 |
외드 3세 | 1192년 – 1218년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3세의 장남 |
섭정 (1218 – 1228) : 알릭스 드 베르지, 위그 4세의 모친 | |||
위그 4세 | 1218년 7월 6일 | 부르고뉴 가문 | 외드 3세의 장남 |
로베르 2세 | 1271년 10월 27일 | 부르고뉴 가문 | 위그 4세의 장남 |
위그 5세 | 1306년 3월 21일 | 부르고뉴 가문 | 로베르 2세의 장남. |
외드 4세 | 1315년 5월 9일 | 부르고뉴 가문 | 로베르 2세의 동생 |
섭정 (1349 – 1361) : 잔 1세 도베르뉴 여백작, 필리프 1세의 모친 | |||
루브르의 필리프 1세 | 1350년 4월 3일 | 부르고뉴 가문 | 부르고뉴 공자 필리프의 장남, 외드 4세의 손자 |
2. 3. 2. 2대 부르고뉴 가문 (발루아-부르고뉴 가문)
(Jean Ier le Bon)(Philippe II le Hardi)
(Jean sans Peur)
(Philippe III le Bon)
(Charles Ier le Téméraire)